고민: 1-0-3은 플랜 수정 요청이다.
플랜 최초 생성이든, 수정이든 상관없이 1-0-2로 응답 해주고 있다.
그런데 수정 요청에 대한 응답은 1-0-3으로 보내주는게 좋을지 고민이 들었다.
결론은 만약 히스토리 관리나 ‘생성/수정 구분’ 기능이 불필요하다면
단일 프로토콜(1-0-2)만으로도 충분함
1-0-3 으로 응답할 경우에 장점은 다음과 같다.
1) 플랜 히스토리/이력 관리가 명확
1-0-2는 “최초 생성 결과”
1-0-3은 “수정 결과”
⇒ 서버, DB, 사용자 모두 ‘플랜의 생성/수정 구분’을 명확하게 알 수 있음
2) 서버, 프론트에서 분기처리 용이
어떤 응답이 “최초 플랜”인지 “수정 플랜”인지 if문으로 구분 쉬움
사용자에게 ‘수정됨’ 배지, 이전 플랜 복원’ 등 추가 UX 제공 용이
3) 추후 확장성
여러 번 수정, 이전 버전 히스토리, “수정 내역 보기” 기능에 유리
예) PLAN_VERSION, ORIGIN_PLAN_ID 등 메타정보 추가 확장 가능
따라서! 확장성, 유지보수성, 이력관리에 분명한 장점이 있으나
구현 복잡도가 아주 약간 오르니 프로젝트 목적에 따라 선택하면 됨
우선 큰 목적이 없으니 1-0-2로 결정
'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yCoach] 문제해결과정 - 체크리스트 생성 로직 수정 (요일 회전 기반) (3) | 2025.08.07 |
---|---|
n주차 잘 전송되는 코드 (1) | 2025.08.04 |
0721 머신이어 마이크 (2) | 2025.07.21 |
복겟몬 조건 (1) | 2025.03.17 |
개인 / C언어 / 로또 프로그램 (0) | 2025.03.15 |